인프라/Docker

인프라/Docker

[Docker] 운영체제만 올라간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바로 종료되는 이유

도커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추상화로 기술로 컨테이너에서 실행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끝나면 컨테이너가 중지된다. 도커 이미지, 도커 파일의 CMD 항목을 통해 컨테이너 실행 시에 응용프로그램을 실행 명령을 설정한다. Ubuntu 이미지는 linux 운영체제의 기본 쉘 프로그램인 bash 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운영체제 이미지는 컨테이너로 실행 시에 STDIN, STDOUT,STDERR 스트림을 컨트롤 해줘야하는데 해당 컨테이너는 따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에 표준입력을 받을 수 있게 해야 대기 상태로 실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된다. docker run -it를 통해 도커를 사용하는 Host PC의 터미널과 도커 컨테이너의 STDIN을 연결해줘야 한다. -i 컨테이너의 입력(STDIN)을..

인프라/Docker

[Docker] 도커란

도커를 공부시작 계기 슬슬 배포 및 서버 자체에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연동시키기보다 컨테이너에 띄워 자동배포하기 쉬운 환경에 대한 공부도 해보고 싶었고 요즘 서비스에서 많이 도입하는 MSA 관련의 기초지식이기도 하며 도커를 모르는 사람도 도커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웹 서비스 프로그램을 만드는 팀프로젝트에 참가하게 되어 공부 시작 가상화를 사용하는 이유 도커에 대한 설명 전에 가상화 기술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OS를 실행하려면 각 OS를 전용 물리적 서버에서 실행해야 한다. 여러 OS를 동시에 실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물리적인 서버가 필요하고 다음과 같은 단점이 발생한다. 1. 여러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것은 여러 물리적 서버를 이용한다는 것이므로 서버 관리 비용이 많이 듬 2..

비오베베
'인프라/Docker'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