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Q1Du8%2FbtsbgkBgtZm%2FrTXB6kpaskWLxmhNgPTDa0%2Fimg.png)
스프링
[Spring] 의존성 주입의 종류
Spring IoC Container가 Bean을 관리할 때는 객체관리 뿐아니라 객체 내에 필요한 객체를 의존성 주입으로 해결한다. 의존성 주입은 필요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로 부터 객체를 받아 사용하는 것이다. 관련 작성 포스팅 의존성 주입은 왜 필요한가? 스프링은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의존성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데 종류는 생성자, 수정자, 필드로 나뉜다. 필드주입 1. 코드가 간결하다. 2.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 테스트시 모킹이 필요하다 3. 스프링 컨테이너 없이 의존성 주입이 힘들다 4. 객체가 생성된 이후에 주입하므로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어 해당 객체의 불변을 보장하지 못한다 @Service public class ProductServic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