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정부의 지나친 개입으로 경제적으로 침체가 일어난 후기 자본주의 이후에 정부의 개입의 줄어들고 시장의 자유가 활성화된 신자유주의가 만들어지게 된다. 시장의 자유가 활성화 되 다시 생산수단을 갖고 부를 축적한 이들에게 유리한 사회가 되어 거대기업들이 자본력을 바탕으로 하나하나 독점 해가기 시작한다. 수많은 노동자들을 거느린 기업은 경제적으로 침체가 오든 호황이 오든, 인건비와 순이익을 줄여가며 자신은 무조건 이득을 볼 수 있지만 노동자들을 침체가 오면 바로 생산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게 될 위기에 처한다. 이에 따라 마르크스는 헤겔의 변증법을 통해 공산주의를 탄생시킨다. 여기서 변증법은 처음 어떤 존재가 생기면(정) 그것에 대립하는 존재가 생기게 되고(반) 결국에 이들은 부딪혀서 새로운 존재(합)로 전개된..
자본주의는 사유재산과 생산수단을 개인이 소유 할 수 있다. 생산수단을 개인이 소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와 다르다. 그리고 공급이 소비보다 대체로 많다. 초기자본주의는 정부의 개입 없이 시장이 알아서 돌아간다.(애덤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능력있는 사람은 초기자본주의형태를 원하지만 애초에 부를 소유하고있는사람도 초기자본주의를 선호한다. 생산수단을 가진 사람과 안 가진 자의 벽이 명확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지 못하고, 이는 소비의 침체로 또 경제대공황으로 이어졌다. 그래서 해결책으로 미국은 정부의 개입이 큰 후기자본주의(수정자본주의), 소련은 공산주의, 독일은 세계2차대전을 냈다. 후기자본주의는 정부의 개입이 크다. 정부의 개입이 큰 것은 세금이 많은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복지도 증..
시장 : 상품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모든 영역, 오늘날 시장은 사회 전체 시장 in (개인 , 기업) 정부개입 높음 세금이 낮으면 정부의 재정이 축소되고, 복지 역시 축소 된다. => 정부개입 낮음 경제 정책은 두 가지가 가능하다. 세금이 높느냐, 낮느냐 사회 1 정부개입이 낮은 사회 사회 2 정부개입이 높은 사회 사회 1 : 세금이 적어 자유롭다. 자신이 일한만큼 벌고, 번 만큼 쓴다. 경쟁을 통해 기술개발, 서비스의 질이 높다. 하지만 능력과 노력의 차이라고해도 복지를 통한 재분배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소득의 격차가 너무 심하고 부자를 보며 상대적 박탈감이 심하다. 노력으로 격차를 좁힐수 없다는 것을 알고 편법이나 반사회적인 방법 강구, 부자를 적대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사회1을 불안정하게 만..